"상장되면 300% 수익 보장"…286명 속여 55억 가로챈 일당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0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경찰이 거짓 상장 정보로 투자자들을 속여 수십억원을 가로챈 일당을 검거했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및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 등 혐의로 A사 대표 B씨(40대) 등 5명을 구속하고 총 46명을 검거했다고 22일 밝혔다.
B씨 등은 지난해 9월부터 지난 4월까지 상장 가능성이 없는 액면가 100원의 A사 주식을 최대 300배 부풀려 판매해서 투자자 286명으로부터 55억원가량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한 피해자는 5억원가량을 투자했다가 피해를 봤다.
B씨는 소프트웨어 개발사를 운영하던 중 경영난을 겪다가 지난해 9월 주식 브로커를 통해 미(未)등록 텔레마케팅 영업단을 소개받았다고 한다. 영업단은 이후 다양한 수법을 동원해 투자자들을 속인 것으로 조사됐다. 우선 투자자들이 주로 모이는 온라인 주식 모임 등을 통해 피해자들을 물색했고, “피해 손실 복구나 집단 소송을 도와주겠다”며 피해자들에게 접근한 것으로 파악됐다. 피해자들이 이에 관심을 보이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주식 투자 ‘리딩방’으로 유인하는 식이었다.
영업단은 피해자들이 리딩방에 모이면 유튜브 라이브 방송 등을 통해 종목을 추천하거나 고객 1:1 투자 멘토를 지정하는 등의 수법으로 신뢰를 쌓았다고 한다. 경찰은 영업단이 실제 상장이 확정된 유명 비상장 회사 주식을 소량 확보해서 1주씩 미끼 상품으로 뿌린 정황도 포착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B씨가 운영하는 A사의 주식을 사도록 유인했다는 게 경찰 설명이다. 영업단은B씨 회사 명의로 된 사업 계획서, 주식 양도 계약서 등을 피해자들에게 보여주면서 “2024년 1분기에 코넥스(KONEX) 등에 상장하면 200~300% 수익이 보장된다”고 속였다.
이렇게 피해자들을 속여 챙긴 돈은 B씨와 브로커, 영업단이 각각 20%, 10%, 70% 비율로 나눠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비상장 주식 투자 사기가 의심된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지난 3월 수사에 나섰다. 한 달 뒤 경찰은 영업단 5곳 중 한 곳의 사무실을 특정해 압수수색했고, 당시 사무실에서 실시간으로 주식 커뮤니티에 사기성 댓글을 다는 조직원들을 검거했다. 또 영업단 총책을 현행범 체포한 뒤 다른 4개 조직도 찾아냈다.
이들은 경찰의 수사를 피하기 위해 2~3개월 단위로 사무실 위치를 옮기거나 대포폰 및 서로 간 가명을 사용해왔던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사기 수법이 각기 다른 5개 영업단이 서로 브로커를 통해서만 연락하는 등 점조직으로 운영된 점을 확인했다. 경찰은 서울 강남구 소재 사무실 및 인천 연수구 총책 주거지 등에서 현금과 귀중품 등을 압수해 총 3억5000만원을 기소 전 추징보전 조치했다.
경찰 관계자는 “유령계좌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리딩방 사기와 달리 회사 대표가 법인 계좌를 범행에 직접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범행에 가담한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B씨 등은 지난해 9월부터 지난 4월까지 상장 가능성이 없는 액면가 100원의 A사 주식을 최대 300배 부풀려 판매해서 투자자 286명으로부터 55억원가량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한 피해자는 5억원가량을 투자했다가 피해를 봤다.
B씨는 소프트웨어 개발사를 운영하던 중 경영난을 겪다가 지난해 9월 주식 브로커를 통해 미(未)등록 텔레마케팅 영업단을 소개받았다고 한다. 영업단은 이후 다양한 수법을 동원해 투자자들을 속인 것으로 조사됐다. 우선 투자자들이 주로 모이는 온라인 주식 모임 등을 통해 피해자들을 물색했고, “피해 손실 복구나 집단 소송을 도와주겠다”며 피해자들에게 접근한 것으로 파악됐다. 피해자들이 이에 관심을 보이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주식 투자 ‘리딩방’으로 유인하는 식이었다.
영업단은 피해자들이 리딩방에 모이면 유튜브 라이브 방송 등을 통해 종목을 추천하거나 고객 1:1 투자 멘토를 지정하는 등의 수법으로 신뢰를 쌓았다고 한다. 경찰은 영업단이 실제 상장이 확정된 유명 비상장 회사 주식을 소량 확보해서 1주씩 미끼 상품으로 뿌린 정황도 포착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B씨가 운영하는 A사의 주식을 사도록 유인했다는 게 경찰 설명이다. 영업단은B씨 회사 명의로 된 사업 계획서, 주식 양도 계약서 등을 피해자들에게 보여주면서 “2024년 1분기에 코넥스(KONEX) 등에 상장하면 200~300% 수익이 보장된다”고 속였다.
이렇게 피해자들을 속여 챙긴 돈은 B씨와 브로커, 영업단이 각각 20%, 10%, 70% 비율로 나눠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비상장 주식 투자 사기가 의심된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지난 3월 수사에 나섰다. 한 달 뒤 경찰은 영업단 5곳 중 한 곳의 사무실을 특정해 압수수색했고, 당시 사무실에서 실시간으로 주식 커뮤니티에 사기성 댓글을 다는 조직원들을 검거했다. 또 영업단 총책을 현행범 체포한 뒤 다른 4개 조직도 찾아냈다.
이들은 경찰의 수사를 피하기 위해 2~3개월 단위로 사무실 위치를 옮기거나 대포폰 및 서로 간 가명을 사용해왔던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사기 수법이 각기 다른 5개 영업단이 서로 브로커를 통해서만 연락하는 등 점조직으로 운영된 점을 확인했다. 경찰은 서울 강남구 소재 사무실 및 인천 연수구 총책 주거지 등에서 현금과 귀중품 등을 압수해 총 3억5000만원을 기소 전 추징보전 조치했다.
경찰 관계자는 “유령계좌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리딩방 사기와 달리 회사 대표가 법인 계좌를 범행에 직접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범행에 가담한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