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4살 딸에게 명품 목걸이"…韓 명품 소비 주목한 외신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외신이 한국 부모들이 자녀에게 고가의 명품 의류를 사 입히는 행태를 지적하고 나섰다.



25일(현지시각)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경기 화성 동탄시에 거주하는 38세 여성 A씨와의 인터뷰를 소개했다.



매체에 따르면, A씨는 최근 4세 첫째 딸에게는 78만원 티파니 목걸이, 18개월 작은 딸에게는 38만원짜리 골든구스 신발을 사줬다. 또 몽클레어 패딩과 셔츠, 버버리 드레스와 바지, 펜디 가운과 신발 등 여러 명품을 구입한 것을 언급했다.



A씨는 매체에 "아이들이 결혼식, 생일 파티, 음악 콘서트에 갈 때 초라해 보이지 않길 바란다"며 "아이들이 그런 옷이나 신발로 마음 편히 다닐 수 있다면 가격은 상관없다"고 밝혔다.



매체는 자녀를 위해 고가의 돈을 소비하는 한국 부모들을 보며, 출산율이 가장 나라에서 사치품을 소비하는 것이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그러면서 "낮은 출산율 및 소가족화, 과시욕, 소득 증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또 "이런 고가의 제품들을 소비하고 큰 젊은이들은 높은 주택 가격에 좌절하며 사치품 유행에 동참하고 있다"며 "명품 브랜드들은 BTS부터 블랙핑크까지 K팝 스타를 브랜드 홍보대사로 영입하며 2030대를 타깃으로 삼았다"고 지적했다.



한 명품업체 국내지사 대표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경쟁이 치열한 한국 사회에서 한국인들은 남들의 눈에 띄고 싶어 한다. 명품은 이를 위한 좋은 수단이 됐다"며 "몽클레어 겨울 패딩은 10대 청소년들의 교복이 됐다"고 꼬집기도 했다.



한편, 매체는 국내 3대 백화점(신세계·롯데·현대) 지난해 아동용 명품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모두 기록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실제로 신세계와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고급 아동용 브랜드 매출이 각각 15%, 27% 증가했고, 롯데백화점의 프리미엄 아동용 품목의 매출이 25% 늘어난 바 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