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청하던 명품 플랫폼…김혜수·김희애·주지훈 사라지자 '반전'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8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발란·트렌비·머스트잇 등 명품 판매 플랫폼의 경영상태가 호전되고 있다. 김혜수·김희애·주지훈 등 톱스타를 앞세웠던 전략을 수정하는 등 허리띠를 졸라맨 결과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명품 플랫폼 발란은 지난해 매출 392억원, 영업손실 100억원, 당기순손실 123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영업손실은 전년 370억원보다 73%나 감소했다. 당기순손실 역시 전년 123억원에서 38억원으로 68% 개선됐다. 매출이 전년보다 절반 넘게 줄었지만 광고선전비를 386억원에서 101억원으로 4분의 1 수준으로 대폭 줄인 게 효과를 보았다.
트렌비는 지난해 매출이 402억원으로 54.5% 감소했지만 적자 규모를 80% 넘게 줄였다. 지난해 영업손실과 순손실은 각각 32억원, 35억원이었다. 역시 지난해 광고선전비는 29억원으로 전년보다 76% 감축했다.
머스트잇은 지난해 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 3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2022년 순손실이 177억원에 달했으나 소폭이나마 흑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영업수익은 250억원으로 전년보다 24.5% 감소했으나 영업손실 규모(79억원)가 대폭 줄었다. 2022년 158억원에 달했던 광고선전비를 37억원으로 줄인 영향이 컸다.
이들 명품 플랫폼은 지난 2021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시기 김혜수·김희애ㅂ주지훈 등 톱스타를 앞세운 공격적 마케팅을 펼치며 온라인 명품 시장을 두고 치열한 소모전을 벌였다. 시장이 확대되는 측면이 있었지만 경기 침체로 인해 투자에 걸맞은 성과를 내지 못하며 한동안 고전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명품 플랫폼 발란은 지난해 매출 392억원, 영업손실 100억원, 당기순손실 123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영업손실은 전년 370억원보다 73%나 감소했다. 당기순손실 역시 전년 123억원에서 38억원으로 68% 개선됐다. 매출이 전년보다 절반 넘게 줄었지만 광고선전비를 386억원에서 101억원으로 4분의 1 수준으로 대폭 줄인 게 효과를 보았다.
트렌비는 지난해 매출이 402억원으로 54.5% 감소했지만 적자 규모를 80% 넘게 줄였다. 지난해 영업손실과 순손실은 각각 32억원, 35억원이었다. 역시 지난해 광고선전비는 29억원으로 전년보다 76% 감축했다.
머스트잇은 지난해 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 3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2022년 순손실이 177억원에 달했으나 소폭이나마 흑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영업수익은 250억원으로 전년보다 24.5% 감소했으나 영업손실 규모(79억원)가 대폭 줄었다. 2022년 158억원에 달했던 광고선전비를 37억원으로 줄인 영향이 컸다.
이들 명품 플랫폼은 지난 2021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시기 김혜수·김희애ㅂ주지훈 등 톱스타를 앞세운 공격적 마케팅을 펼치며 온라인 명품 시장을 두고 치열한 소모전을 벌였다. 시장이 확대되는 측면이 있었지만 경기 침체로 인해 투자에 걸맞은 성과를 내지 못하며 한동안 고전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