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개기 직구땐 年2억 구매해도 세금 '0'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9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정부 면세 사각지대 차단
'하루 150弗까지 면세' 악용
여러 사이트 돌며 꼼수 구매
정부 관세규정 개편 착수
연간 한도 1000弗 도입 검토
EU처럼 부가세 부과 방안도
현재 중국 알리, 테무, 쉬인 등 3개 사이트에서 매일 150달러씩 450달러어치를 해외 직구로 주문하면 월 1만3500달러까지 구매할 수 있다. 연간 16만2000달러 직구가 가능한 셈이다. 모두 면세 혜택도 받는다. 3명이 동업자라면 연간 중국산 저가 상품 면세 직구는 48만6000달러까지 가능하다. 만약 1명의 사업자가 48만6000달러 규모 의류를 중국에서 한꺼번에 수입한다면 관세만 6만3180달러에 달한다. 부가가치세도 5만4918달러나 된다. 관세와 부가세를 합치면 11만8098달러로 수입품 전체 가격의 25%를 차지한다.
이 같은 '꼼수' 직구가 활개를 칠 수 있는 것은 현재 해외 직구 면세 규정에 따라 하나의 해외 직구 사이트에서 같은 날 주문할 경우 150달러까지는 관세, 부가세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알리, 테무, 쉬인 3개 사이트에서 하루에 150달러씩 한 달, 1년 내내 직구해도 현재 면세 기준을 충족해 세금 한 푼 내지 않는다. 다만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식품 등은 금액과 상관없이 목록통관이 안 되고 일반 수입신고 절차를 밟아야 한다.
특히 면세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국내 재판매용 '쪼개기' 직구가 기승을 부리면서 국내 소상공인은 물론 영세 제조업체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한 사람이 한 달에 수백 번, 연간 수억 원 쪼개기 직구하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24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기획재정부가 이처럼 면세 규정을 악용해 무분별하게 들어오는 중국산 제품 구매 행태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직구 면세 제도 개편도 150달러 한도를 조정하는 방식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된다.
직구 면세에 연간 구매 한도를 두는 방식도 우선 검토 중이다. 현행 제도로는 개인통관고유부호만 수집하면 중국산 저가 물품을 세금 한 푼 내지 않고 무한정 들여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도는 연간 1000달러 정도가 적당하다는 의견이 많다.
150달러를 하루 한도로 정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모든 직구 사이트에서 하루 150달러 이하로 구매해야 면세 혜택을 받도록 하는 방식이다. 개인별로 연간 한도를 두는 방식보다는 약하지만 무분별한 쪼개기 직구를 막는 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국내 시장을 교란하는 쪼개기 직구를 막기 위해 다른 날 또는 다른 사이트에서 구매한 물품이라도 같은 날 들어오면 150달러 면세 한도에 합산하는 방식도 검토 대상이다. 입항일이 동일한 경우 합산 과세했지만 2022년 11월 17일 제도를 바꿔 합산하지 않기로 했는데 과거 제도를 재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현행 제도를 유지하되 부가세는 부과하는 방식도 생각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이 채택한 방식이다. EU는 회원국 밖에서 온라인 직구하는 경우 150유로 이하에 대해 관세는 부과하지 않지만 부가세는 부과하고 있다.
중국산 '짝퉁' 수입품 규모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날 관세청에 따르면 2018~2023년 5년간 지식재산권을 침해해 세관당국에 적발된 수입품 규모는 2조902억원(시가 기준)으로 파악됐다. 지난 1~2월 두 달간 적발된 지재권 침해 수입품 규모는 653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469억원)보다 39% 늘었다.
'하루 150弗까지 면세' 악용
여러 사이트 돌며 꼼수 구매
정부 관세규정 개편 착수
연간 한도 1000弗 도입 검토
EU처럼 부가세 부과 방안도
현재 중국 알리, 테무, 쉬인 등 3개 사이트에서 매일 150달러씩 450달러어치를 해외 직구로 주문하면 월 1만3500달러까지 구매할 수 있다. 연간 16만2000달러 직구가 가능한 셈이다. 모두 면세 혜택도 받는다. 3명이 동업자라면 연간 중국산 저가 상품 면세 직구는 48만6000달러까지 가능하다. 만약 1명의 사업자가 48만6000달러 규모 의류를 중국에서 한꺼번에 수입한다면 관세만 6만3180달러에 달한다. 부가가치세도 5만4918달러나 된다. 관세와 부가세를 합치면 11만8098달러로 수입품 전체 가격의 25%를 차지한다.
이 같은 '꼼수' 직구가 활개를 칠 수 있는 것은 현재 해외 직구 면세 규정에 따라 하나의 해외 직구 사이트에서 같은 날 주문할 경우 150달러까지는 관세, 부가세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알리, 테무, 쉬인 3개 사이트에서 하루에 150달러씩 한 달, 1년 내내 직구해도 현재 면세 기준을 충족해 세금 한 푼 내지 않는다. 다만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식품 등은 금액과 상관없이 목록통관이 안 되고 일반 수입신고 절차를 밟아야 한다.
특히 면세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국내 재판매용 '쪼개기' 직구가 기승을 부리면서 국내 소상공인은 물론 영세 제조업체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한 사람이 한 달에 수백 번, 연간 수억 원 쪼개기 직구하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24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기획재정부가 이처럼 면세 규정을 악용해 무분별하게 들어오는 중국산 제품 구매 행태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직구 면세 제도 개편도 150달러 한도를 조정하는 방식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된다.
직구 면세에 연간 구매 한도를 두는 방식도 우선 검토 중이다. 현행 제도로는 개인통관고유부호만 수집하면 중국산 저가 물품을 세금 한 푼 내지 않고 무한정 들여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도는 연간 1000달러 정도가 적당하다는 의견이 많다.
150달러를 하루 한도로 정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모든 직구 사이트에서 하루 150달러 이하로 구매해야 면세 혜택을 받도록 하는 방식이다. 개인별로 연간 한도를 두는 방식보다는 약하지만 무분별한 쪼개기 직구를 막는 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국내 시장을 교란하는 쪼개기 직구를 막기 위해 다른 날 또는 다른 사이트에서 구매한 물품이라도 같은 날 들어오면 150달러 면세 한도에 합산하는 방식도 검토 대상이다. 입항일이 동일한 경우 합산 과세했지만 2022년 11월 17일 제도를 바꿔 합산하지 않기로 했는데 과거 제도를 재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현행 제도를 유지하되 부가세는 부과하는 방식도 생각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이 채택한 방식이다. EU는 회원국 밖에서 온라인 직구하는 경우 150유로 이하에 대해 관세는 부과하지 않지만 부가세는 부과하고 있다.
중국산 '짝퉁' 수입품 규모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날 관세청에 따르면 2018~2023년 5년간 지식재산권을 침해해 세관당국에 적발된 수입품 규모는 2조902억원(시가 기준)으로 파악됐다. 지난 1~2월 두 달간 적발된 지재권 침해 수입품 규모는 653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469억원)보다 39% 늘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