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이제 살만큼 샀나…명품, 재고 산더미에 할인 판매?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거치며 ‘보복 소비’를 타고 급성장한 세계 고급 패션 브랜드 시장 성장세가 주춤하다. 재고가 급증하면서 그간 꺼렸던 할인 판매를 눈에 안 띄게 재개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컨설팅기업 베인앤드컴퍼니를 인용해 세계 고급 패션 브랜드 시장의 올해 매출액은 3620억 유로(약 514조 원)로 지난해보다 약 3.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31.8%, 지난해 20.3% 성장한 것과 비교하면 급제동이 걸린 셈이다.

코로나19가 끝난 후 나타났던 ‘한풀이식’ 소비가 한풀 꺾였고 미국,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경기가 가라앉으면서 소비자들이 차츰 지갑을 닫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 온라인 명품 쇼핑몰 ‘마이테리사’는 "2008년(세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시장 상황"을 겪고 있다면서 지난 3분기 말 기준 재고가 1년 전보다 44% 급증했다고 밝혔다. 버버리의 경우 백화점에서 안 팔린 재고를 도로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 패션기업들은 대폭 할인 판매로 재고를 소화하지만, 고급 이미지를 지켜야 하는 명품 브랜드들은 할인을 꺼린다. 프라다의 경우 도매상에 대한 의존도를 2018년의 절반 수준으로 낮춘 상태다. 이제 프라다는 제품 대부분을 본사가 가격을 완전히 통제하는 자체 매장에서 판매하면서 자사 매장에서 할인 판매를 중단했다. 경쟁사 구찌도 마찬가지다.

고급 패션 산업은 최근 몇 년 동안 세일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을 차단하는 데 탁월한 성과를 냈지만, 매장들이 쌓이는 재고로 어려움을 겪기 시작하면서 이런 전략을 고수하기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WSJ은 평가했다. 실제로 최근 몇 달 동안 비공식 재판매상들이 명품 브랜드들로부터 직접 재고 판매를 제안하는 연락을 받는 징후가 있다고 WSJ은 전했다.

이들 브랜드는 과거에는 재고를 헐값에 팔 바에야 아예 태워버리는 식으로 대응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패션 제품 소각을 법으로 금지함에 따라 이런 방식 또한 여의치 않게 됐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