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부산 큰일난다” 섬뜩한 경고…‘우르르’ 떠난다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89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기업도 떠난다”
부산이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2030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통계 결과가 나오면서 지역 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5년간 부산을 떠난 기업수가 1000여개에 달한다는 충격적인 조사가 나왔다.
현재 부산에 본사를 둔 상장 기업은 전국 2703곳 중 85곳으로, 제2의 도시임에도 충남(108곳)과 충북(91곳)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에 본사를 둔 상장 기업 가운데 1조 원 이상의 상장 기업은 금양과 BNK금융지주 밖에 없다. 최근 5년간 부산을 떠난 법인 수도 950여 개에 달한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의 소멸위험지수값이 0.49로 위험단계에 들어섰다고 발표했다. 인구소멸지수는 40세 미만 성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는 값으로 0.5 미만일 경우 소멸위험지역, 0.2 미만일 경우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이와 함께 2050년 부산의 20~30대 여성인구는 절반 아래로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3분의 2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소멸 위험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부산에는 노인과 바다 밖에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지난해 기준 부산 인구는 328만 명, 인천은 301만 명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머지않아 인천에 따라잡힐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부산의 인구소멸은 저출산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와 청년 일자리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구 유출의 문제는 부산만의 문제가 아닌 데다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 순인구유출률이 경제권역 중 가장 큰 만큼 동남권 메갈로폴리스(여러 대도시가 확장·연결로 형성된 광역도시권)에 대해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부산이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2030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통계 결과가 나오면서 지역 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5년간 부산을 떠난 기업수가 1000여개에 달한다는 충격적인 조사가 나왔다.
현재 부산에 본사를 둔 상장 기업은 전국 2703곳 중 85곳으로, 제2의 도시임에도 충남(108곳)과 충북(91곳)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에 본사를 둔 상장 기업 가운데 1조 원 이상의 상장 기업은 금양과 BNK금융지주 밖에 없다. 최근 5년간 부산을 떠난 법인 수도 950여 개에 달한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의 소멸위험지수값이 0.49로 위험단계에 들어섰다고 발표했다. 인구소멸지수는 40세 미만 성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는 값으로 0.5 미만일 경우 소멸위험지역, 0.2 미만일 경우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이와 함께 2050년 부산의 20~30대 여성인구는 절반 아래로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3분의 2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소멸 위험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부산에는 노인과 바다 밖에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지난해 기준 부산 인구는 328만 명, 인천은 301만 명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머지않아 인천에 따라잡힐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부산의 인구소멸은 저출산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와 청년 일자리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구 유출의 문제는 부산만의 문제가 아닌 데다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 순인구유출률이 경제권역 중 가장 큰 만큼 동남권 메갈로폴리스(여러 대도시가 확장·연결로 형성된 광역도시권)에 대해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