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대란에도… 아프면 일단 서울" '빅5' 향한 지방환자 59%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4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후 의료 공백 사태가 계속된 상황에서도 지방 환자들의 '빅5' 병원 쏠림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에 있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등 큰 병원을 찾은 지방 환자의 60% 상당은 빅5 병원에서 진료받았다.
서울에 있는 상급종합병원은 빅5(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 등을 포함해 14곳이며, 종합병원은 44곳이다.
올 상반기 지방에서 서울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을 찾은 진료실인원은 167만 8067명이다. 이 중 59.3%인 99만 4401명은 빅5 병원에서 진료받았다.
서울에 있는 상급종합병원 14곳만 따지면 빅5 병원 쏠림 현상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서울의 상급종합병원을 찾은 지방 환자 128만 9118명 중 77.1%가 빅5 병원 진료 환자였다.
진료 건수도 마찬가지였다.
올 상반기 서울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지방 환자의 진료 건수는 530만 4653건이고 이중 빅5 병원에서 시행된 진료가 316만 8943건으로 59.7%를 차지한 것이다.
진료 쏠림 현상이 심하다 보니, 빅5 병원이 진료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컸다.
지방 환자의 올 상반기 서울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 진료비는 2조 3870억 9400만 원이었는데 이 중 1조 5602억 7500만 원(65.4%)이 빅5 병원에서 나왔다.
김 의원은 "큰 병에 걸려도 최고 수준과 실력을 갖춘 지역거점병원에서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역의료를 획기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며 "모든 국민이 어디서나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완결형 의료체계를 구축하고 특히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를 통해 빅5 병원 쏠림 현상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에 있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등 큰 병원을 찾은 지방 환자의 60% 상당은 빅5 병원에서 진료받았다.
서울에 있는 상급종합병원은 빅5(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 등을 포함해 14곳이며, 종합병원은 44곳이다.
올 상반기 지방에서 서울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을 찾은 진료실인원은 167만 8067명이다. 이 중 59.3%인 99만 4401명은 빅5 병원에서 진료받았다.
서울에 있는 상급종합병원 14곳만 따지면 빅5 병원 쏠림 현상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서울의 상급종합병원을 찾은 지방 환자 128만 9118명 중 77.1%가 빅5 병원 진료 환자였다.
진료 건수도 마찬가지였다.
올 상반기 서울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지방 환자의 진료 건수는 530만 4653건이고 이중 빅5 병원에서 시행된 진료가 316만 8943건으로 59.7%를 차지한 것이다.
진료 쏠림 현상이 심하다 보니, 빅5 병원이 진료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컸다.
지방 환자의 올 상반기 서울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 진료비는 2조 3870억 9400만 원이었는데 이 중 1조 5602억 7500만 원(65.4%)이 빅5 병원에서 나왔다.
김 의원은 "큰 병에 걸려도 최고 수준과 실력을 갖춘 지역거점병원에서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역의료를 획기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며 "모든 국민이 어디서나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완결형 의료체계를 구축하고 특히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를 통해 빅5 병원 쏠림 현상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