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들 제대로 홀렸다…4시간 만에 매출 400만원 '대박'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1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황보 민 BGF리테일 가공식품팀 MD 인터뷰
라면으로 4시간 만에 매출 400만원 '대박'
홍대 ‘라면 도서관’의 비밀
관광객 '필수코스' 된 홍대 라면 라이브러리 기획
"외국인 사이에서 로망 된 'K라면 끓여먹기'
봉지라면으로 비쥬얼·체험 둘 다 잡아 성공
지역맛집과 손 잡아 이색 라면도 선보일 것"
요즘 식품·유통사 최고경영자(CEO)와 임원들 사이에선 '스터디를 위해 홍대입구역을 꼭 한 번 가봐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팝업스토어나, 명품 브랜드 매장 때문이 아니다. 홍대 인근에 있는 편의점 '라면 라이브러리'(CU 홍대상상점) 때문이다.
이곳은 척 보기에도 여느 편의점과 다르다. 마치 책이 빼곡히 들어선 책장처럼, 매장 한쪽 벽면을 수백 여개의 봉지 라면이 꽉 채우고 있다. 그 옆에는 라면을 직접 끓여 먹을 수 있는 즉석조리기와 컵라면 모양 식탁도 있다.
팝업스토어 같은 신선한 비쥬얼과 체험형 공간을 합쳐놓은 덕분에 라면 라이브러리는 지난해 12월 4일 문을 연 직후 외국인 관광객의 '필수 코스'가 됐다. 편의점이 관광객 인기 코스가 된 건 드문 일이다.
해외·단종 라면도 모두 이곳에
이곳을 기획한 건 지난해 8월 경력직으로 BGF리테일에 입사한 황보 민 가공식품팀 상품기획자(MD·36)다. 그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K콘텐츠가 인기를 얻으면서 라면을 직접 끓여먹는 걸 동경하는 외국인들이 많아졌는데, 편의점을 이런 로망을 직접 실현해주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다"고 했다.
입사 반 년도 채 안 된 그가 '라면 라이브러리' 아이디어를 떠올린 건 지난해 말. 'CU 주류 특화 매장을 이을 새로운 매장을 만들어보라'는 미션이 받으면서부터다. 그는 국내에 거의 모든 팝업스토어, 맛집, 유명 거리 등을 훑고 다녔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뭘 들고 다니는지, 젊은층이 어떤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지를 샅샅히 살폈다.
그 때 눈에 들어온 게 '봉지라면'이었다. "해외에도 라면 특화 매장이 있지만, 번들 형태로 구매하는 게 대부분이더라고요. 낱개로 된 봉지라면을 한데 모아서 진열하면 '인증샷'을 찍을 만한 비쥬얼과 함께 쇼핑하는 재미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아이디어 구상부터 매장 개점까지 걸린 시간은 고작 한 달 반. 그 사이에 황보 MD는 주말도, 휴일도 없이 매일 매장으로 출근했다. 그는 "라면을 어떤 순서로 진열할지, 마감재는 뭘 쓸지 등 세세한 것까지 모두 살폈다"며 "처음에는 봉지라면을 회사별·재료별로 진열해보기도 했지만, 결국 외국인 관광객 입장에서 가장 궁금해 할 매운맛 순서대로 보여주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매장 이름 역시 '도서관처럼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라면이 있다'는 뜻을 담아 '라면 라이브러리(도서관)'로 지었다.
2개월 만에 3만여개 '불티'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라면 라이브러리의 라면 판매량은 개점 2개월 만에 3만개를 돌파했다. 라면으로 벌어들이는 매출이 일반 편의점 대비 20배에 달한다. 컵라면이 더 잘 팔리는 다른 매장과는 달리, 매출의 70% 이상은 봉지라면이다.
외국인뿐만이 아니다.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간편하게 끼니를 때우거나, 해장할 수 있는 장소로 입소문이 났다. 지난해 12월 31일에서 1월 1일로 넘어가는 밤 4시간 동안엔 매출 400만원을 찍기도 했다.
다른 곳에서 찾기 힘든 라면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도 이곳의 강점이다. 황보 MD는 "'세상의 모든 라면을 보여주자'는 콘셉트에 맞춰 해외 라면뿐 아니라, 지역 특산물 라면 등 잘 알려지지 않은 라면도 확보했다"며 "한 라면 제조사 임원이 와서 단종된 라면을 다시 생산할 테니, 이곳에 진열해달라는 요청을 할 정도"라고 말했다.
이렇다 보니 라면 라이브러리를 '테스트베드'로 삼는 곳도 생겼다. 최근 풀무원은 서울시와 손 잡고 만든 '로스팅 서울라면'을 이곳에서 시범 판매하기로 했다. 반응을 보고 판매량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BGF리테일은 라면 제조사들과 함께 'K라면을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더 알리자'는 데 공감대를 모아 2월 한 달간 라면 라이브러리의 모든 제품을 50% 할인하기로 했다.
BGF리테일은 홍대상상점의 성공을 발판 삼아 라면 특화 매장을 늘릴 예정이다. 현재 2호점을 어디에 낼 지 논의 중이다. 황보 MD는 "앞으로 라면 라이브러리를 통해 지역맛집 등과 협업한 새로운 라면도 개발해서 선보일 것"이라고 했다.
라면으로 4시간 만에 매출 400만원 '대박'
홍대 ‘라면 도서관’의 비밀
관광객 '필수코스' 된 홍대 라면 라이브러리 기획
"외국인 사이에서 로망 된 'K라면 끓여먹기'
봉지라면으로 비쥬얼·체험 둘 다 잡아 성공
지역맛집과 손 잡아 이색 라면도 선보일 것"
요즘 식품·유통사 최고경영자(CEO)와 임원들 사이에선 '스터디를 위해 홍대입구역을 꼭 한 번 가봐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팝업스토어나, 명품 브랜드 매장 때문이 아니다. 홍대 인근에 있는 편의점 '라면 라이브러리'(CU 홍대상상점) 때문이다.
이곳은 척 보기에도 여느 편의점과 다르다. 마치 책이 빼곡히 들어선 책장처럼, 매장 한쪽 벽면을 수백 여개의 봉지 라면이 꽉 채우고 있다. 그 옆에는 라면을 직접 끓여 먹을 수 있는 즉석조리기와 컵라면 모양 식탁도 있다.
팝업스토어 같은 신선한 비쥬얼과 체험형 공간을 합쳐놓은 덕분에 라면 라이브러리는 지난해 12월 4일 문을 연 직후 외국인 관광객의 '필수 코스'가 됐다. 편의점이 관광객 인기 코스가 된 건 드문 일이다.
해외·단종 라면도 모두 이곳에
이곳을 기획한 건 지난해 8월 경력직으로 BGF리테일에 입사한 황보 민 가공식품팀 상품기획자(MD·36)다. 그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K콘텐츠가 인기를 얻으면서 라면을 직접 끓여먹는 걸 동경하는 외국인들이 많아졌는데, 편의점을 이런 로망을 직접 실현해주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다"고 했다.
입사 반 년도 채 안 된 그가 '라면 라이브러리' 아이디어를 떠올린 건 지난해 말. 'CU 주류 특화 매장을 이을 새로운 매장을 만들어보라'는 미션이 받으면서부터다. 그는 국내에 거의 모든 팝업스토어, 맛집, 유명 거리 등을 훑고 다녔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뭘 들고 다니는지, 젊은층이 어떤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지를 샅샅히 살폈다.
그 때 눈에 들어온 게 '봉지라면'이었다. "해외에도 라면 특화 매장이 있지만, 번들 형태로 구매하는 게 대부분이더라고요. 낱개로 된 봉지라면을 한데 모아서 진열하면 '인증샷'을 찍을 만한 비쥬얼과 함께 쇼핑하는 재미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아이디어 구상부터 매장 개점까지 걸린 시간은 고작 한 달 반. 그 사이에 황보 MD는 주말도, 휴일도 없이 매일 매장으로 출근했다. 그는 "라면을 어떤 순서로 진열할지, 마감재는 뭘 쓸지 등 세세한 것까지 모두 살폈다"며 "처음에는 봉지라면을 회사별·재료별로 진열해보기도 했지만, 결국 외국인 관광객 입장에서 가장 궁금해 할 매운맛 순서대로 보여주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매장 이름 역시 '도서관처럼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라면이 있다'는 뜻을 담아 '라면 라이브러리(도서관)'로 지었다.
2개월 만에 3만여개 '불티'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라면 라이브러리의 라면 판매량은 개점 2개월 만에 3만개를 돌파했다. 라면으로 벌어들이는 매출이 일반 편의점 대비 20배에 달한다. 컵라면이 더 잘 팔리는 다른 매장과는 달리, 매출의 70% 이상은 봉지라면이다.
외국인뿐만이 아니다.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간편하게 끼니를 때우거나, 해장할 수 있는 장소로 입소문이 났다. 지난해 12월 31일에서 1월 1일로 넘어가는 밤 4시간 동안엔 매출 400만원을 찍기도 했다.
다른 곳에서 찾기 힘든 라면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도 이곳의 강점이다. 황보 MD는 "'세상의 모든 라면을 보여주자'는 콘셉트에 맞춰 해외 라면뿐 아니라, 지역 특산물 라면 등 잘 알려지지 않은 라면도 확보했다"며 "한 라면 제조사 임원이 와서 단종된 라면을 다시 생산할 테니, 이곳에 진열해달라는 요청을 할 정도"라고 말했다.
이렇다 보니 라면 라이브러리를 '테스트베드'로 삼는 곳도 생겼다. 최근 풀무원은 서울시와 손 잡고 만든 '로스팅 서울라면'을 이곳에서 시범 판매하기로 했다. 반응을 보고 판매량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BGF리테일은 라면 제조사들과 함께 'K라면을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더 알리자'는 데 공감대를 모아 2월 한 달간 라면 라이브러리의 모든 제품을 50% 할인하기로 했다.
BGF리테일은 홍대상상점의 성공을 발판 삼아 라면 특화 매장을 늘릴 예정이다. 현재 2호점을 어디에 낼 지 논의 중이다. 황보 MD는 "앞으로 라면 라이브러리를 통해 지역맛집 등과 협업한 새로운 라면도 개발해서 선보일 것"이라고 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