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쉬서 파는 옷, 문제 있으면 A/S 문의할 연락처가 없다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70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의류 100건 중 소재 정보 없거나 부정확 7건
치수 없거나 부정확 12건
중국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에서 판매하고 있는 옷을 샀다가 문제가 생겨 사후 서비스(A/S)를 받아야 하더라도 문의할 연락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2일 소비자 단체 ‘미래소비자행동’과 함께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2일까지 해외 직구 온라인 플랫폼 정보제공 실태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의류 제품 100건을 조사한 결과 제조국 표시가 없는 사례는 80건, 제조연월이 없는 사례는 98건이었다. A/S 책임자 및 연락처 정보는 100건 모두 정보가 없었다. 의류 소재 정보가 없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7건, 치수가 없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12건이었다. 치수 정보가 중국어로만 제공되거나, 제품명과 상세 정보의 소재 정보가 다른 사례도 있었다.
해외 직구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27.9%(279명)는 불만 및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 가운데 58.8%(164명)는 판매자에게 피해 처리를 요청했고 16.5%(46명)는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 국내 소비자 관련 기관·단체에 도움을 요청했다는 응답자는 9.7%(27명)였다. 해외 판매자에게 피해 처리를 요청해 결과에 만족했다는 의견은 25%(27명)에 그쳤다.
해외 직구 플랫폼 이용자의 23.7%(237명)는 물건을 산 뒤 한 번도 쓰지 않은 제품이 있었다. 사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제품 하자가 발생하는 등 제품 품질이 기대보다 못해서’가 59.9%(142명)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제품을 사용할 기회가 없어서’(27.8%, 66명), ‘처음부터 저렴한 제품을 호기심에 구입’(8.0%, 19명) 등의 순이었다.
서울시는 해외 직구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품을 살 때 주요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어 후기와 사진으로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또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비용과 자원의 낭비로 이어지므로 구매 결정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치수 없거나 부정확 12건
중국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에서 판매하고 있는 옷을 샀다가 문제가 생겨 사후 서비스(A/S)를 받아야 하더라도 문의할 연락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2일 소비자 단체 ‘미래소비자행동’과 함께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2일까지 해외 직구 온라인 플랫폼 정보제공 실태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의류 제품 100건을 조사한 결과 제조국 표시가 없는 사례는 80건, 제조연월이 없는 사례는 98건이었다. A/S 책임자 및 연락처 정보는 100건 모두 정보가 없었다. 의류 소재 정보가 없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7건, 치수가 없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12건이었다. 치수 정보가 중국어로만 제공되거나, 제품명과 상세 정보의 소재 정보가 다른 사례도 있었다.
해외 직구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27.9%(279명)는 불만 및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 가운데 58.8%(164명)는 판매자에게 피해 처리를 요청했고 16.5%(46명)는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 국내 소비자 관련 기관·단체에 도움을 요청했다는 응답자는 9.7%(27명)였다. 해외 판매자에게 피해 처리를 요청해 결과에 만족했다는 의견은 25%(27명)에 그쳤다.
해외 직구 플랫폼 이용자의 23.7%(237명)는 물건을 산 뒤 한 번도 쓰지 않은 제품이 있었다. 사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제품 하자가 발생하는 등 제품 품질이 기대보다 못해서’가 59.9%(142명)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제품을 사용할 기회가 없어서’(27.8%, 66명), ‘처음부터 저렴한 제품을 호기심에 구입’(8.0%, 19명) 등의 순이었다.
서울시는 해외 직구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품을 살 때 주요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어 후기와 사진으로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또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비용과 자원의 낭비로 이어지므로 구매 결정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