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보다 믿음"…명품 직구 키우는 韓 대형 이커머스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7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SSG닷컴·롯데온, 최근 해외 럭셔리 플랫폼 잇달아 입점
국내 명품업 어렵지만…직접구매 시장 성장세 주목
국내 대형 이커머스 업계가 명품 해외직구(직접구매) 플랫폼을 잇달아 입점하고 있다. 팬데믹 기간 호황을 누렸던 머스트잇·트렌비·발란 등 국내 명품 플랫폼 업계가 최근 구조조정, 폐업 등 위기에 빠진 것과는 상반된 행보다. 이커머스 업계는 국내 직구 시장 성장에 주목하고 '명품 직구' 경쟁력을 키운다. 초저가 공산품 부문에서 영향력을 키우는 중국발 이커머스보다 소비자 신뢰도가 높다는 점을 활용할 모양새다. #폭스샵
신세계가 운영하는 이커머스 SSG닷컴은 지난 12일 캐나다 명품 플랫폼 '에센스'를 입점했다. SSG닷컴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에센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간편한 직구를 돕는 구조다. SSG닷컴은 지난 1월 '네타포르테'와 '미스터포터', 지난 3일 '마이테레사' 등 해외직구 플랫폼을 입점시켰다. #해피샵
롯데쇼핑 이커머스 부문 롯데온도 지난 12일 에센스 공식 매장을 개설했다. 롯데온은 해외직구 상품을 구매할 때 국내 간편 결제 시스템, 해외 결제 카드 사용을 지원해 소비자 진입 장벽을 낮췄다. SSG닷컴과 롯데온 모두 국내 명품 전문 물류업체와 계약해 해외직구 배송·반품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블프
대형 이커머스가 명품 직구를 확대하는 반면 국내 명품 플랫폼 업계는 팬데믹이 끝나면서 꾸준히 어려운 상황이다. 대표 명품 플랫폼 머스트잇·트렌비·발란은 지난 2년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머스트잇은 지난 3월 절반가량 직원에게 희망퇴직을 받는 등 구조조정에 돌입하기도 했다. 명품 플랫폼 업계 4위였던 캐치패션 경우 창업 후 영업이익을 한 번도 달성하지 못했고, 지난 3월 서비스를 종료했다. #고야드리미티드
국내 명품 플랫폼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줄어든 명품 소비가 꼽힌다. 플랫폼 업체는 명품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수익으로 삼는데, 거래가 줄어들면서 실적이 감소한 것이다. 이 같은 업황에 명품 업체 수익성도 줄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상위 명품 브랜드 4사(샤넬·루이비통·디올·에르메스)는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 지난해 매출액이 대체로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타지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4개 명품 브랜드 국내 법인이 기록한 영업이익은 전년(2022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총 17% 감소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상승한 곳은 에르메스코리아뿐이었다. 같은 기간 루이비통코리아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줄었다. #vvip공장
대형 이커머스가 명품 직구를 확대하는 반면 국내 명품 플랫폼 업계는 팬데믹이 끝나면서 꾸준히 어려운 상황이다. 대표 명품 플랫폼 머스트잇·트렌비·발란은 지난 2년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머스트잇은 지난 3월 절반가량 직원에게 희망퇴직을 받는 등 구조조정에 돌입하기도 했다. 명품 플랫폼 업계 4위였던 캐치패션 경우 창업 후 영업이익을 한 번도 달성하지 못했고, 지난 3월 서비스를 종료했다. #그린엘
국내 명품 플랫폼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줄어든 명품 소비가 꼽힌다. 플랫폼 업체는 명품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수익으로 삼는데, 거래가 줄어들면서 실적이 감소한 것이다. 이 같은 업황에 명품 업체 수익성도 줄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상위 명품 브랜드 4사(샤넬·루이비통·디올·에르메스)는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 지난해 매출액이 대체로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18k제작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4개 명품 브랜드 국내 법인이 기록한 영업이익은 전년(2022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총 17% 감소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상승한 곳은 에르메스코리아뿐이었다. 같은 기간 루이비통코리아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줄었다.
국내 명품업 어렵지만…직접구매 시장 성장세 주목
국내 대형 이커머스 업계가 명품 해외직구(직접구매) 플랫폼을 잇달아 입점하고 있다. 팬데믹 기간 호황을 누렸던 머스트잇·트렌비·발란 등 국내 명품 플랫폼 업계가 최근 구조조정, 폐업 등 위기에 빠진 것과는 상반된 행보다. 이커머스 업계는 국내 직구 시장 성장에 주목하고 '명품 직구' 경쟁력을 키운다. 초저가 공산품 부문에서 영향력을 키우는 중국발 이커머스보다 소비자 신뢰도가 높다는 점을 활용할 모양새다. #폭스샵
신세계가 운영하는 이커머스 SSG닷컴은 지난 12일 캐나다 명품 플랫폼 '에센스'를 입점했다. SSG닷컴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에센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간편한 직구를 돕는 구조다. SSG닷컴은 지난 1월 '네타포르테'와 '미스터포터', 지난 3일 '마이테레사' 등 해외직구 플랫폼을 입점시켰다. #해피샵
롯데쇼핑 이커머스 부문 롯데온도 지난 12일 에센스 공식 매장을 개설했다. 롯데온은 해외직구 상품을 구매할 때 국내 간편 결제 시스템, 해외 결제 카드 사용을 지원해 소비자 진입 장벽을 낮췄다. SSG닷컴과 롯데온 모두 국내 명품 전문 물류업체와 계약해 해외직구 배송·반품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블프
대형 이커머스가 명품 직구를 확대하는 반면 국내 명품 플랫폼 업계는 팬데믹이 끝나면서 꾸준히 어려운 상황이다. 대표 명품 플랫폼 머스트잇·트렌비·발란은 지난 2년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머스트잇은 지난 3월 절반가량 직원에게 희망퇴직을 받는 등 구조조정에 돌입하기도 했다. 명품 플랫폼 업계 4위였던 캐치패션 경우 창업 후 영업이익을 한 번도 달성하지 못했고, 지난 3월 서비스를 종료했다. #고야드리미티드
국내 명품 플랫폼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줄어든 명품 소비가 꼽힌다. 플랫폼 업체는 명품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수익으로 삼는데, 거래가 줄어들면서 실적이 감소한 것이다. 이 같은 업황에 명품 업체 수익성도 줄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상위 명품 브랜드 4사(샤넬·루이비통·디올·에르메스)는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 지난해 매출액이 대체로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타지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4개 명품 브랜드 국내 법인이 기록한 영업이익은 전년(2022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총 17% 감소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상승한 곳은 에르메스코리아뿐이었다. 같은 기간 루이비통코리아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줄었다. #vvip공장
대형 이커머스가 명품 직구를 확대하는 반면 국내 명품 플랫폼 업계는 팬데믹이 끝나면서 꾸준히 어려운 상황이다. 대표 명품 플랫폼 머스트잇·트렌비·발란은 지난 2년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머스트잇은 지난 3월 절반가량 직원에게 희망퇴직을 받는 등 구조조정에 돌입하기도 했다. 명품 플랫폼 업계 4위였던 캐치패션 경우 창업 후 영업이익을 한 번도 달성하지 못했고, 지난 3월 서비스를 종료했다. #그린엘
국내 명품 플랫폼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줄어든 명품 소비가 꼽힌다. 플랫폼 업체는 명품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수익으로 삼는데, 거래가 줄어들면서 실적이 감소한 것이다. 이 같은 업황에 명품 업체 수익성도 줄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상위 명품 브랜드 4사(샤넬·루이비통·디올·에르메스)는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 지난해 매출액이 대체로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18k제작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4개 명품 브랜드 국내 법인이 기록한 영업이익은 전년(2022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총 17% 감소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상승한 곳은 에르메스코리아뿐이었다. 같은 기간 루이비통코리아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줄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