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쓰다 버리면 그만" 알리 무턱대고 시켰다간…'무서운 경고'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품질 이슈에도 C커머스 이용자·거래액 폭증

환불·유해물질·가품·개인정보 유출 문제 커져

"해외사업자 규제할 법 없어…입법화 필요성"

"'마이데이터' 도입 시 정보 헐값에 팔릴 우려"



제품 안전성 논란으로 C커머스(중국 이커머스)는 타격을 입었을까. 적어도 이용자 수는 그렇지 않다. '초저가 공세'로 C커머스를 이용하는 국내 소비자들은 더 늘었다. 워낙 가격이 싼 탓에 품질이 별로일 경우 '버리면 그만'이라는 식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C커머스의 국내 진출 이후 소비자 피해가 늘어난 점에 주목해 관련 법안 마련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와 관련해 상품 안전성, 개인정보 보호 등의 측면에서 국내 플랫폼과 동일한 정부 규제를 적용받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C커머스 이용자와 거래액이 늘어나는데 문제를 방치하면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단 얘기다.



애플리케이션(앱)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지난달 결제추정 금액이 368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64% 늘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의 누적 결제추정액은 2조2938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금액(2조3227억원)과 맞먹는다.



특히 ‘티메프’(티몬·위메프) 정산 대금 지연 사태가 터졌던 지난달 앱 사용자 수는 알리익스프레스 847만명, 테무 755만명으로 합계 1601만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하면 236% 폭증한 수치다. 티메프가 조달하던 중국산 상품이 C커머스로 이동해 국내 소비자를 더 흡수하고 있다고 업계는 분석했다.



국내 기준치를 초과하는 발암물질이 나오는 등 품질 이슈와 가품(짝퉁)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C커머스는 견고한 모습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해외 직접 구매액은 2조149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5.6% 급증했는데 지역별로 보면 중국이 1조2373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전체 해외직구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역대 처음 60%를 넘어(61.4%) 최대치를 기록했다.

과 공공분야에선 이미 도입됐는데 내년 3월 전 분야 시행을 앞두고 있다.



황원재 계명대 교수는 “C커머스가 현재 형식상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받고 있지만 거절이 어려운 포괄적인 동의방식, 사후고지로 사전고지를 대체하는 규정 등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며 “쉽게 말해 내 정보가 어디로, 어떻게 들어갔는지 확인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이 같은 문제와 관련해 이강수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거래정책과 과장은 “공정위는 자율 협약 체결, 전자상거래법 개정, 해외사업자에 대한 차별 없는 법 집행 등 범정부 차원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김직동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정책과 과장도 “올해 4월 해외 사업자 대상으로 개인정보보호법 적용 안내서를 제공하는 등 명확히 원칙을 천명하고 있다”고 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