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백화점, 쇼핑하고 지구 살리고…친환경 포장재로 年25t 플라스틱 절감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11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사탕수수 종이 패키지 사용
제로 웨이스트 백화점 도전
폐아이스팩으로 쿨매트 제작
유기동물 보호 단체에 기부
버려지는 청바지 업사이클링
'푸빌라' 인형 만들어 사회공헌
신세계백화점이 '제로 웨이스트'(쓰레기 배출 최소화) 실천을 통해 친환경 백화점으로 거듭난다. 신세계는 업계 최초로 자체 친환경 패키지 기준을 마련하고, 오는 6월 1일부터 23일까지 업사이클링 제품 기부와 친환경 상품을 소개하는 'Better Choice, Better Future'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번 캠페인 슬로건에는 '고객과 신세계가 함께 선택하고 실천해 밝은 미래를 만든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먼저 신세계가 만든 자체 친환경 시스템인 친환경 패키지 기준은 '플라스틱 제로·100% 재활용 가능 패키지'를 목적으로 한다. 재생 소재 사용 여부와 재활용 가능률을 조합해 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매우 미흡과 같이 5등급으로 구분했다. 향후 신세계 매장에서 최소 '우수' 등급 이상의 포장재만을 사용해 일상생활 속에서 친환경에 기여하는 소비 공간 조성에 힘쓸 예정이다.
오는 6월 3일 신세계 강남점 식품관에 목재 펄프를 사용하지 않고 사탕수수 섬유소로 만든 친환경 종이 '바가스 펄프' 도입을 시작으로 향후 전 점포로 확대 도입할 예정이다. 신세계는 식품관에 친환경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연간 25t의 플라스틱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후 식품관 외에도 패션·잡화 등 백화점 내 모든 장르에 친환경 패키지를 점차 도입해 '제로 웨이스트 백화점'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앞서 신세계는 업계 최초로 2011년 종이 전단지와 2016년 쇼핑책자를 없앴다. 2017년에는 전자영수증을 도입하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특히 전자영수증 사용 캠페인 효과로 올해 4월 기준으로 6000만여 건의 종이 영수증이 절감됐다는 설명이다.
2018년 설 명절부터는 친환경·재활용 포장재와 냉매재를 확대 도입했고, 세탁세제와 섬유유연제 리필 공간인 '에코 리필 스테이션'을 열어 고객 스스로 착한 소비를 실천하는 장도 마련한 바 있다. 2020년에는 연간 약 2400만장이 사용되던 비닐봉투를 없앴다. 온실가스 발생의 주범으로도 꼽히는 비닐봉투를 없애면서 연간 4만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를 선보이며 '친환경 신세계'를 선보이고 있다.
한편 고객이 직접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먼저 신세계백화점 본점, 강남점, 타임스퀘어점 등 9개 점포에서는 6월 12일까지 폐아이스팩을 기부받아 쿨매트를 제작해 유기동물 보호 단체에 기부한다.
업사이클링 참여 확대를 위해 신세계백화점의 자체 캐릭터인 '푸빌라'도 나선다. 신세계와 리바이스가 손잡고 6월 3일부터 16일까지 신세계 강남점에서 폐데님으로 만든 미니 푸빌라를 제작해 판매하는 것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미니 푸빌라의 판매 수익금과 상품을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기부해 친환경과 사회공헌 모두 실천하는 의미 있는 팝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세계 의정부점에서는 구매 금액 3만원 이상 고객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식물재배 키트를 증정한다. 광주신세계에서는 갤러리 내부에 친환경 테마 작품을 전시하고 판매되는 작품의 수익금을 기부할 예정이다. 신세계 김해점에서는 어린이 플리마켓을 기획해 버려지는 물건도 다시 쓰는 자원 선순환에 어린이 고객들도 동참하도록 한다.
지구의 건강과 환경을 염려하는 '가치소비' 고객들을 위한 상품도 소개한다. 6월 3일부터 12일까지 신세계백화점 본점과 강남점, 센텀시티점에서는 4가지 친환경 소비 방법(Repair·Resell·Reground·Recycle)을 고객이 직접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특별한 브랜드 60여 개를 만나볼 수 있다.
신세계 강남점에서는 '리바이스 데님 바(Bar)' 매장이 열린다. 폐데님을 활용한 상품 제작 이벤트로 자원 선순환의 전 과정에 고객이 참여해 의미를 더한다. 신세계 본점에서도 세컨드핸드 전문 편집숍인 '어플릭시' 매장을 열고 메종마르지엘라, 사카이 등 엄선된 해외 패션 브랜드의 상품을 소개한다. 신세계 센텀시티점에서는 6월 12일까지 '세계 물의 날'을 주제로 화장품 브랜드 비오템의 '워터러버' 팝업이 단독으로 열린다.
손영식 신세계백화점 대표는 "친환경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한 만큼 고객이 직접 참여해 환경 문제를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마련했다"면서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공헌활동에도 앞장서며 선구적인 ESG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제로 웨이스트 백화점 도전
폐아이스팩으로 쿨매트 제작
유기동물 보호 단체에 기부
버려지는 청바지 업사이클링
'푸빌라' 인형 만들어 사회공헌
신세계백화점이 '제로 웨이스트'(쓰레기 배출 최소화) 실천을 통해 친환경 백화점으로 거듭난다. 신세계는 업계 최초로 자체 친환경 패키지 기준을 마련하고, 오는 6월 1일부터 23일까지 업사이클링 제품 기부와 친환경 상품을 소개하는 'Better Choice, Better Future'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번 캠페인 슬로건에는 '고객과 신세계가 함께 선택하고 실천해 밝은 미래를 만든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먼저 신세계가 만든 자체 친환경 시스템인 친환경 패키지 기준은 '플라스틱 제로·100% 재활용 가능 패키지'를 목적으로 한다. 재생 소재 사용 여부와 재활용 가능률을 조합해 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매우 미흡과 같이 5등급으로 구분했다. 향후 신세계 매장에서 최소 '우수' 등급 이상의 포장재만을 사용해 일상생활 속에서 친환경에 기여하는 소비 공간 조성에 힘쓸 예정이다.
오는 6월 3일 신세계 강남점 식품관에 목재 펄프를 사용하지 않고 사탕수수 섬유소로 만든 친환경 종이 '바가스 펄프' 도입을 시작으로 향후 전 점포로 확대 도입할 예정이다. 신세계는 식품관에 친환경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연간 25t의 플라스틱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후 식품관 외에도 패션·잡화 등 백화점 내 모든 장르에 친환경 패키지를 점차 도입해 '제로 웨이스트 백화점'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앞서 신세계는 업계 최초로 2011년 종이 전단지와 2016년 쇼핑책자를 없앴다. 2017년에는 전자영수증을 도입하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특히 전자영수증 사용 캠페인 효과로 올해 4월 기준으로 6000만여 건의 종이 영수증이 절감됐다는 설명이다.
2018년 설 명절부터는 친환경·재활용 포장재와 냉매재를 확대 도입했고, 세탁세제와 섬유유연제 리필 공간인 '에코 리필 스테이션'을 열어 고객 스스로 착한 소비를 실천하는 장도 마련한 바 있다. 2020년에는 연간 약 2400만장이 사용되던 비닐봉투를 없앴다. 온실가스 발생의 주범으로도 꼽히는 비닐봉투를 없애면서 연간 4만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를 선보이며 '친환경 신세계'를 선보이고 있다.
한편 고객이 직접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먼저 신세계백화점 본점, 강남점, 타임스퀘어점 등 9개 점포에서는 6월 12일까지 폐아이스팩을 기부받아 쿨매트를 제작해 유기동물 보호 단체에 기부한다.
업사이클링 참여 확대를 위해 신세계백화점의 자체 캐릭터인 '푸빌라'도 나선다. 신세계와 리바이스가 손잡고 6월 3일부터 16일까지 신세계 강남점에서 폐데님으로 만든 미니 푸빌라를 제작해 판매하는 것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미니 푸빌라의 판매 수익금과 상품을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기부해 친환경과 사회공헌 모두 실천하는 의미 있는 팝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세계 의정부점에서는 구매 금액 3만원 이상 고객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식물재배 키트를 증정한다. 광주신세계에서는 갤러리 내부에 친환경 테마 작품을 전시하고 판매되는 작품의 수익금을 기부할 예정이다. 신세계 김해점에서는 어린이 플리마켓을 기획해 버려지는 물건도 다시 쓰는 자원 선순환에 어린이 고객들도 동참하도록 한다.
지구의 건강과 환경을 염려하는 '가치소비' 고객들을 위한 상품도 소개한다. 6월 3일부터 12일까지 신세계백화점 본점과 강남점, 센텀시티점에서는 4가지 친환경 소비 방법(Repair·Resell·Reground·Recycle)을 고객이 직접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특별한 브랜드 60여 개를 만나볼 수 있다.
신세계 강남점에서는 '리바이스 데님 바(Bar)' 매장이 열린다. 폐데님을 활용한 상품 제작 이벤트로 자원 선순환의 전 과정에 고객이 참여해 의미를 더한다. 신세계 본점에서도 세컨드핸드 전문 편집숍인 '어플릭시' 매장을 열고 메종마르지엘라, 사카이 등 엄선된 해외 패션 브랜드의 상품을 소개한다. 신세계 센텀시티점에서는 6월 12일까지 '세계 물의 날'을 주제로 화장품 브랜드 비오템의 '워터러버' 팝업이 단독으로 열린다.
손영식 신세계백화점 대표는 "친환경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한 만큼 고객이 직접 참여해 환경 문제를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마련했다"면서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공헌활동에도 앞장서며 선구적인 ESG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