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타는 매도인 느긋한 매수인…하루 만에 갑을 바뀐 잠실 부동산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내놓은 물건을 빨리 팔 수 없느냐는 전화가 대부분이고, 매수자들은 오히려 느긋해졌어요."
20일 오전 찾은 서울 송파구 잠실동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 아파트 상가 내 부동산은 대로변 앞문은 걸어 잠갔지만 대부분이 영업 중이었습니다.
공인중개사들은 휴대전화를 붙들고 정신없이 통화를 하면서 인기척이 있으면 그제야 '진짜 손님'인지 확인하고 문을 열었습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진행 중인 이상 거래 현장 점검 여파입니다.
정부와 서울시가 19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역으로 확대하자 매도자 우위였던 시장 분위기는 하루 만에 매수자 우위로 바뀌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됐다가 한 달여 만에 재지정된 잠실은 전세 낀 집을 팔아야 하는 매도인과, 이른바 '급지'가 더 높은 곳의 아파트를 사놓고 본인 집을 팔아야 하는 매도인 중심으로 호가를 1억 ∼2억 씩 조정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잠실 엘스·리센츠·트리지움의 84㎡ 호가는 30억 원 안팎인데, 급하게 처분해야 하는 매도인은 28억∼29억 5천만 원에 집을 내놓았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효력이 발생하는 이달 24일부터는 강남 3구와 용산구에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불가능합니다.
반면 매수인들은 가격이 좀 더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팔짱을 끼고 있습니다.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84㎡ 매수를 알아보고 있었다는 김 모 씨(45)는 "그간 호가가 26억 ∼27억 원이었는데 25억 원으로 낮출 수 있다는 전화를 부동산에서 받았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 발효 전에 전세 낀 집을 빨리 사면 가격을 더 낮춰주겠다는 건데, 24억 원대까지 내려오면 움직이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소유자가 직접 살고 있는 실거주 매물 호가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게 지역 부동산들의 얘기입니다.
잠실 공인중개사 A 씨는 "이곳 단지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전부터도 가격이 오르고 있었고, 5년간 이미 규제받아온 지역이어서 다시 지정됐다고 해도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오히려 재지정하면서 강남과 용산은 오른다고 정부가 찍어준 꼴"이라고 말했습니다.
잠실엘스 아파트를 주로 중개하는 B 씨도 "일반 매물 가격은 거의 조정이 안 됐다고 보면 된다"면서 "호가 2억 원이 떨어졌느니 하는 건 상급지 아파트를 선매수해서 급하게 처분해야 하는 매물"이라고 말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새로 묶이는 용산도 비슷한 분위기입니다.
용산구 이촌동 재건축단지 공인중개사 B 씨는 "실거주하는 매도인들은 굳이 가격을 내릴 필요가 없다고 하고, 전세를 끼고 있는 매도자 한 분이 호가를 2억 원 정도 내리겠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용산구 이촌동의 또 다른 공인중개사 C 씨는 "집 팔고 반포로 이동하려던 분들이 많았는데 그쪽 집값 상승으로 매물이 대거 보류된 상태"라며 "이미 팔릴 집은 다 팔렸기 때문에 실거주자들은 호가를 내리지 않고 버티기를 택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서 벗어나 '풍선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마포구 부동산에는 매수인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공덕동 공인중개사무소 대표 D 씨는 "마포, 성동, 강동 아파트값이 오르지 않았다면 모르겠지만 이미 상당히 오른 상태라 풍선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경기 과천의 공인중개사 E 씨는 "강남 3구가 묶이니 풍선효과로 과천으로 매수가 몰릴 것이라는 기대감과 강남 시장이 가라앉으면 덩달아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동시에 있어 다들 시장 방향성을 주시하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이날 찾은 부동산에선 "아수라장이 됐다", "어떻게 정책을 호떡 뒤집듯 바꾸느냐"는 원성이 쏟아졌습니다.
잠실동 공인중개사 F 씨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기간을 6개월로 잡은 것도 결국 정치적인 측면이 있는 것 아니냐"며 대선 이후로 공을 넘긴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강남구 방배동 공인중개사 G 씨는 "이제 갭투자했던 매물을 소화할 매수자가 없으니 전세 매물이 품귀해질 것"이라며 "이로 인한 전셋값 상승이 매맷값을 밀어 올리는 상황이 1∼2년 안에 오면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효과가 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20일 오전 찾은 서울 송파구 잠실동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 아파트 상가 내 부동산은 대로변 앞문은 걸어 잠갔지만 대부분이 영업 중이었습니다.
공인중개사들은 휴대전화를 붙들고 정신없이 통화를 하면서 인기척이 있으면 그제야 '진짜 손님'인지 확인하고 문을 열었습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진행 중인 이상 거래 현장 점검 여파입니다.
정부와 서울시가 19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역으로 확대하자 매도자 우위였던 시장 분위기는 하루 만에 매수자 우위로 바뀌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됐다가 한 달여 만에 재지정된 잠실은 전세 낀 집을 팔아야 하는 매도인과, 이른바 '급지'가 더 높은 곳의 아파트를 사놓고 본인 집을 팔아야 하는 매도인 중심으로 호가를 1억 ∼2억 씩 조정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잠실 엘스·리센츠·트리지움의 84㎡ 호가는 30억 원 안팎인데, 급하게 처분해야 하는 매도인은 28억∼29억 5천만 원에 집을 내놓았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효력이 발생하는 이달 24일부터는 강남 3구와 용산구에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불가능합니다.
반면 매수인들은 가격이 좀 더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팔짱을 끼고 있습니다.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84㎡ 매수를 알아보고 있었다는 김 모 씨(45)는 "그간 호가가 26억 ∼27억 원이었는데 25억 원으로 낮출 수 있다는 전화를 부동산에서 받았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 발효 전에 전세 낀 집을 빨리 사면 가격을 더 낮춰주겠다는 건데, 24억 원대까지 내려오면 움직이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소유자가 직접 살고 있는 실거주 매물 호가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게 지역 부동산들의 얘기입니다.
잠실 공인중개사 A 씨는 "이곳 단지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전부터도 가격이 오르고 있었고, 5년간 이미 규제받아온 지역이어서 다시 지정됐다고 해도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오히려 재지정하면서 강남과 용산은 오른다고 정부가 찍어준 꼴"이라고 말했습니다.
잠실엘스 아파트를 주로 중개하는 B 씨도 "일반 매물 가격은 거의 조정이 안 됐다고 보면 된다"면서 "호가 2억 원이 떨어졌느니 하는 건 상급지 아파트를 선매수해서 급하게 처분해야 하는 매물"이라고 말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새로 묶이는 용산도 비슷한 분위기입니다.
용산구 이촌동 재건축단지 공인중개사 B 씨는 "실거주하는 매도인들은 굳이 가격을 내릴 필요가 없다고 하고, 전세를 끼고 있는 매도자 한 분이 호가를 2억 원 정도 내리겠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용산구 이촌동의 또 다른 공인중개사 C 씨는 "집 팔고 반포로 이동하려던 분들이 많았는데 그쪽 집값 상승으로 매물이 대거 보류된 상태"라며 "이미 팔릴 집은 다 팔렸기 때문에 실거주자들은 호가를 내리지 않고 버티기를 택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서 벗어나 '풍선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마포구 부동산에는 매수인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공덕동 공인중개사무소 대표 D 씨는 "마포, 성동, 강동 아파트값이 오르지 않았다면 모르겠지만 이미 상당히 오른 상태라 풍선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경기 과천의 공인중개사 E 씨는 "강남 3구가 묶이니 풍선효과로 과천으로 매수가 몰릴 것이라는 기대감과 강남 시장이 가라앉으면 덩달아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동시에 있어 다들 시장 방향성을 주시하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이날 찾은 부동산에선 "아수라장이 됐다", "어떻게 정책을 호떡 뒤집듯 바꾸느냐"는 원성이 쏟아졌습니다.
잠실동 공인중개사 F 씨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기간을 6개월로 잡은 것도 결국 정치적인 측면이 있는 것 아니냐"며 대선 이후로 공을 넘긴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강남구 방배동 공인중개사 G 씨는 "이제 갭투자했던 매물을 소화할 매수자가 없으니 전세 매물이 품귀해질 것"이라며 "이로 인한 전셋값 상승이 매맷값을 밀어 올리는 상황이 1∼2년 안에 오면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효과가 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