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분 생겼다"…尹파면에 의대생들 수업 복귀 기대감 ↑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내년 의대 정원, 기존 3058명 조기 확정 가능성 ↑
서울대, 연대 본과 4학년 각각 65%, 47% 수업 참여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계기로,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의과대학생들이 복귀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기대감이 의료계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6일 의료·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생들은 모두 등록은 마쳤지만 대부분이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며 정부의 의대 증원 등 의료정책에 대한 반발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대학에서는 등록을 마친 뒤 휴학계를 제출하거나 재휴학을 상담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의료계 다수는 윤 전 대통령의 파면 선고가 의대생들의 입장 변화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의대 정원 확대를 강력히 추진했던 주체가 물러났기 때문에 이를 복귀의 명분으로 삼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방의 한 의대 학장 A씨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학생들과 상담을 하다 보면 '이 상황을 만든 윤 전 대통령이 있는 한 돌아가기 어렵다. 탄핵 이후 복귀 여부를 결정하고 싶다'는 말을 종종 듣게 된다"고 전하면서 "이제는 복귀에 대한 명분이 생긴 셈이라 학생들도 보다 수용적인 자세를 취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원 3058명은 정부와 대학 간에 지켜야 할 기준선이기도 하며, 몇 달을 무작정 흘려보내는 것은 물론 24학번 기준 최대 2년에 이르는 휴학 기간은 너무 긴 시간이기 때문에, 결국 학생들도 합리적인 판단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복귀를 유도하려는 노력을 지속 중이라고 덧붙였다.
서울 소재의 또 다른 의대 B학장도 "탄핵 선고 직전부터 출석률이 조금씩 오르기 시작했는데, 파면 결정이 내려진 만큼 이번 주 월요일부터는 수업 참여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내비쳤다.
내년 의대 정원이 기존 3058명으로 조기 확정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도 학생 복귀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당초 정부와 대학 측은 '3월 내 전원 복귀'를 전제로 정원 동결을 고려하고, 실질적인 수업 참여율을 토대로 정책을 결정하겠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정치적 변화로 인해, 무리한 증원이 필요하지 않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서울 주요 대학들의 수업 복귀율이 일정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점과, 차기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는 복학하더라도 학사 일정을 정상적으로 소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도 복귀를 촉진하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각 대학과 교육 당국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고려대 본과 2학년의 약 64%, 서울대 본과 4학년의 약 65%, 연세대 본과 4학년의 약 47%가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대한의사협회는 윤석열 정부의 의료정책 중단을 촉구하는 투쟁 로드맵을 구체화하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현장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잇따르고 있다.
서울대, 연대 본과 4학년 각각 65%, 47% 수업 참여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계기로,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의과대학생들이 복귀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기대감이 의료계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6일 의료·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생들은 모두 등록은 마쳤지만 대부분이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며 정부의 의대 증원 등 의료정책에 대한 반발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대학에서는 등록을 마친 뒤 휴학계를 제출하거나 재휴학을 상담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의료계 다수는 윤 전 대통령의 파면 선고가 의대생들의 입장 변화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의대 정원 확대를 강력히 추진했던 주체가 물러났기 때문에 이를 복귀의 명분으로 삼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방의 한 의대 학장 A씨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학생들과 상담을 하다 보면 '이 상황을 만든 윤 전 대통령이 있는 한 돌아가기 어렵다. 탄핵 이후 복귀 여부를 결정하고 싶다'는 말을 종종 듣게 된다"고 전하면서 "이제는 복귀에 대한 명분이 생긴 셈이라 학생들도 보다 수용적인 자세를 취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원 3058명은 정부와 대학 간에 지켜야 할 기준선이기도 하며, 몇 달을 무작정 흘려보내는 것은 물론 24학번 기준 최대 2년에 이르는 휴학 기간은 너무 긴 시간이기 때문에, 결국 학생들도 합리적인 판단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복귀를 유도하려는 노력을 지속 중이라고 덧붙였다.
서울 소재의 또 다른 의대 B학장도 "탄핵 선고 직전부터 출석률이 조금씩 오르기 시작했는데, 파면 결정이 내려진 만큼 이번 주 월요일부터는 수업 참여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내비쳤다.
내년 의대 정원이 기존 3058명으로 조기 확정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도 학생 복귀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당초 정부와 대학 측은 '3월 내 전원 복귀'를 전제로 정원 동결을 고려하고, 실질적인 수업 참여율을 토대로 정책을 결정하겠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정치적 변화로 인해, 무리한 증원이 필요하지 않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서울 주요 대학들의 수업 복귀율이 일정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점과, 차기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는 복학하더라도 학사 일정을 정상적으로 소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도 복귀를 촉진하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각 대학과 교육 당국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고려대 본과 2학년의 약 64%, 서울대 본과 4학년의 약 65%, 연세대 본과 4학년의 약 47%가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대한의사협회는 윤석열 정부의 의료정책 중단을 촉구하는 투쟁 로드맵을 구체화하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현장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잇따르고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