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백화점 대구점, 명품 브랜드 잇따라 철수... 생존 위기 직면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4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롯데백화점 대구점이 명품 브랜드의 잇따른 철수로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샤넬, 루이비통, 구찌, 불가리 등 주요 명품 브랜드가 연이어 철수하면서 롯데백화점의 경쟁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다.
2016년 대구신세계와 2022년 더현대 대구가 새로 문을 열면서 롯데 대구점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이에 따라 남아있는 명품 브랜드들의 존속 여부마저 불투명해졌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 대구점에 입점해 있던 명품 주얼리 브랜드 불가리가 지난 6월 28일을 끝으로 철수했다. 이는 지난해 말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가 철수한 이후 또 하나의 주요 브랜드가 퇴점한 것이다. 이전에도 2015년에는 샤넬이, 2018년에는 루이비통과 롤렉스가 철수한 바 있다.
이처럼 명품 브랜드가 잇따라 철수하는 이유는 지방 점포의 한계와 타사와의 경쟁 심화에 있다. 실제로 2016년 대구 신세계가 진출한 이후 롯데 대구점을 떠나는 럭셔리 브랜드들이 늘어났다.
2003년 대구역에 개점한 롯데 대구점은 한때 대구경북권을 대표하는 백화점으로 자리매김했으나, 대구신세계와 더현대 대구가 들어서면서 입지가 약해졌다. 매출 규모도 2010년 4600억 원대에서 2022년 2300억 원대로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같은 해 대구신세계는 1조 4391억 원, 더현대 대구는 595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롯데 대구점은 남아있는 브랜드들의 철수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명품 브랜드는 실적과 이미지에 민감하여 최상급 브랜드가 철수하면 다른 브랜드들도 따라 나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백화점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며, 매출 하락은 추가 브랜드 이탈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명품 업계는 실적과 브랜드 이미지에 매우 민감하다"며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 등 최상급 명품 브랜드가 철수하면 하위 브랜드들도 뒤따라 나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제주 시내면세점에서도 확인된 바 있으며, 코로나19로 내점객이 줄어들고 매출이 부진하자 주요 명품 브랜드들이 매장 운영을 종료한 사례와 유사하다.
롯데 대구점은 앞으로 명품보다는 지역 밀착형 MD(상품기획)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지역 중소형 점포 특성에 맞춘 차별화된 MD 전략을 통해 상권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점포 활성화의 일환으로 지난 4월 3300㎡ 규모의 초대형 키즈 카페 '메타시티'를 오픈했다. 메타시티는 개점 한 달 만에 방문객 2만 명을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이에 따라 롯데 대구점의 신규 고객은 한 달 새 35% 증가했고, 백화점 식당가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5% 신장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경기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올해는 특히 지역 중소형 점포에 고객 유치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며 "선제 대응을 통해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그는 "상권 경쟁력이 약화됐거나 경합상권 내 위치한 점포를 우선적으로 선별해 MD 보강 및 쇼핑 환경 개선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 경영학 교수는 "백화점의 경우 명품 매출이 매출 신장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데 롯데백화점 대구점의 경우 소위 말하는 잔돈 장사를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인구 소멸 시기에 키즈카페로 얼마나 많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식당가 매출이 25% 신장했다고 하지만 식당가 매출은 백화점 전체 매출에서 아주 미미한 부분"이라며 "현실성 없는 전략으로 시장상황에 대응한다면 대구점 자체의 존립이 어려워 질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2016년 대구신세계와 2022년 더현대 대구가 새로 문을 열면서 롯데 대구점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이에 따라 남아있는 명품 브랜드들의 존속 여부마저 불투명해졌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 대구점에 입점해 있던 명품 주얼리 브랜드 불가리가 지난 6월 28일을 끝으로 철수했다. 이는 지난해 말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가 철수한 이후 또 하나의 주요 브랜드가 퇴점한 것이다. 이전에도 2015년에는 샤넬이, 2018년에는 루이비통과 롤렉스가 철수한 바 있다.
이처럼 명품 브랜드가 잇따라 철수하는 이유는 지방 점포의 한계와 타사와의 경쟁 심화에 있다. 실제로 2016년 대구 신세계가 진출한 이후 롯데 대구점을 떠나는 럭셔리 브랜드들이 늘어났다.
2003년 대구역에 개점한 롯데 대구점은 한때 대구경북권을 대표하는 백화점으로 자리매김했으나, 대구신세계와 더현대 대구가 들어서면서 입지가 약해졌다. 매출 규모도 2010년 4600억 원대에서 2022년 2300억 원대로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같은 해 대구신세계는 1조 4391억 원, 더현대 대구는 595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롯데 대구점은 남아있는 브랜드들의 철수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명품 브랜드는 실적과 이미지에 민감하여 최상급 브랜드가 철수하면 다른 브랜드들도 따라 나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백화점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며, 매출 하락은 추가 브랜드 이탈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명품 업계는 실적과 브랜드 이미지에 매우 민감하다"며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 등 최상급 명품 브랜드가 철수하면 하위 브랜드들도 뒤따라 나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제주 시내면세점에서도 확인된 바 있으며, 코로나19로 내점객이 줄어들고 매출이 부진하자 주요 명품 브랜드들이 매장 운영을 종료한 사례와 유사하다.
롯데 대구점은 앞으로 명품보다는 지역 밀착형 MD(상품기획)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지역 중소형 점포 특성에 맞춘 차별화된 MD 전략을 통해 상권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점포 활성화의 일환으로 지난 4월 3300㎡ 규모의 초대형 키즈 카페 '메타시티'를 오픈했다. 메타시티는 개점 한 달 만에 방문객 2만 명을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이에 따라 롯데 대구점의 신규 고객은 한 달 새 35% 증가했고, 백화점 식당가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5% 신장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경기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올해는 특히 지역 중소형 점포에 고객 유치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며 "선제 대응을 통해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그는 "상권 경쟁력이 약화됐거나 경합상권 내 위치한 점포를 우선적으로 선별해 MD 보강 및 쇼핑 환경 개선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 경영학 교수는 "백화점의 경우 명품 매출이 매출 신장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데 롯데백화점 대구점의 경우 소위 말하는 잔돈 장사를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인구 소멸 시기에 키즈카페로 얼마나 많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식당가 매출이 25% 신장했다고 하지만 식당가 매출은 백화점 전체 매출에서 아주 미미한 부분"이라며 "현실성 없는 전략으로 시장상황에 대응한다면 대구점 자체의 존립이 어려워 질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