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디올, 50만원 이상 구매 시 신분증 지참 에르메스, 샤넬은 구매 개수 제한까지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해외 명품 브랜드인 에르메스와 샤넬에 이어 디올(Dior)이 제품 구매 고객에게 신분증을 요구해 적잖은 논란이 일고 있다. 이들 명품 브랜드 측은 재판매(리셀)업자를 걸러내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이지만, 소비자들은 구매를 허락받아야 하는 형태라며 맹비난하고 있다.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프랑스 명품 브랜드 '디올'은 최근 일정 금액 이상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신분증 확인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디올코리아가 50만원 이상 제품 구매 시 신분증을 지참하도록 정책을 변경하면서 전국 각 매장에서 고객의 신분증을 일일이 확인하고 있는 것. 디올은 뷰티 제품을 제외한 의류, 가방, 쥬얼리 등 대부분 제품이 50만원을 훌쩍 넘어 사실상 모든 고객의 신분증을 검사하는 셈이다.


하지만 일부 매장에선 단골, 일면이 있는 고객에겐 신분증을 요구하지 않고 있다. 일관성이 없다보니 고객의 불쾌감은 더 커지는 상황이다.


이달 중순 대구 신세계백화점 디올 매장에서 운동화를 구매한 A씨는 직원의 신분증 요구에 황당해했다.

루이비통이나 구찌 등 다른 명품 브랜드를 구매할 때는 신분증을 확인하지 않았다. A씨는 "그날 옷차림이 후줄근해 신분증을 보여 달라고 했나 싶어 맘카페에 질문을 남기기도 했다"며 "비슷한 시기에 디올을 이용한 고객은 가방을 사도 신분증 확인을 하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신분증 확인은 한정 제품 등을 구매한 뒤 웃돈을 붙여 되파는 업자와 고객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업체측의 설명이다.

대구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대구뿐 아니라, 전국 디올 매장에서 동일하게 신분증을 확인한다"며 "대구 신세계에선 에르메스와 샤넬, 디올이 재판매를 막기 위해 신분증을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샤넬은 2021년부터 매장에 입장할 때 본인 명의로 대기열에 등록하고 신분증 원본을 지참하도록 정책을 변경했다. 에르메스는 더 깐깐하다. 물건을 사려면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와 신분증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 연간 구매 개수도 제한한다.

수 백만~수 천만원에 이르는 큰돈을 내고 물건을 구입하는 소비자 입장에선 신분증까지 요구하는 정책이 탐탁지 않다. 일각에선 가격 인상과 함께 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 에르메스는 매년 1회정도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올 초에도 주요 가방 제품을 최대 10% 올렸다. 샤넬도 가격 인상에 동참했다. 지난달 보석·시계 품목에 대해 4%가량 가격을 올린 데 이어 이달 초에는 향수 등 뷰티 제품 가격을 최대 20% 인상했다. 디올도 지난달 대표 인기 제품인 로즈드방, 디올아무르 등 쥬얼리 제품 가격을 최대 10% 이상 올렸다. 

#에르메스

# 샤넬

# 디올

# 신세계백화점

# 명품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