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디어 봉쇄 해제…정상화 시동 건 '中 경제도시' 상하이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코로나19 확산으로 도시 봉쇄를 단행했던 중국 상하이가 '정상화' 수순에 나섰다.

1일 상하이시는 오전 0시(현시 시간)를 기준으로 도시 봉쇄를 해제했다. 지난 3월 28일 이후 65일 만이다.

일반 지역 시민은 자유롭게 주거 단지 밖에서도 활동할 수 있으며 자동차와 오토바이의 등이 통행 제한도 없어졌다. 버스와 전철 등 대중교통의 운영도 평소 수준을 회복했다.

자영업자들은 사무실과 공장, 상점 등을 다시 운영하기 시작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절정에 달했던 4월엔 상하이의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2만7000여명에 달했다. 이후 확산세가 꺾이면서 지난 30일엔 29명을 기록했다.

지난달 중순부터는 격리 밑 통제 구역 밖인 '사회면'에선 신규 감염자도 거의 발생하지 않아 보건 당국의 봉쇄 해제 조건인 '사회면 코로나 제로'의 요건도 충족해왔다.

다만 고위험 및 중위험 구역은 여전히 통행 제한 등 조치가 유지된다.

상하이는 인구 2500만명의 대도시인데 도시 전체가 마비되자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경제가 큰 타격을 받았다.

지난 4월 중국의 소매 판매와 산업 생산 증가율은 각각 -11.1%와 -2.9%를 기록하면서 혼란에 휩싸였다. 이는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한 2020년 우한 사태 초기 이후 최악의 상황이었다.

이에 전문가들은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연초 정부가 설정한 5.5%보다 한참 뒤처진 2.3%에 그치거나 그 이하일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번 상하이 봉쇄는 시진핑 국가주석을 포함해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 정치적 충격 역시 안겼다.

중국이 자랑스러워했던 만리장성식 방역 체계가 붕괴했고 상하이에서만 60여 만명의 확진자가 나오자 많은 자국민은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이는 당과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졌다.

특히 상하이 내부에선 식료품 대란 등이 일며 민생 위기가 심각해지자 시민들이 집단 항의를 벌이기도 했다.

공장의 가동이 중지되고 수출길 역시 막히자 중국 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공급망 역시 혼란에 빠졌다.

지난 30일 리칭 상하이 당서기는 경제 정상화 추진 회의에서 "파격적인 사고와 행동으로 상하이의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고 코로나로 빚은 손실을 만회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다만 상점을 비롯해 기업 사무실이나 공장 등 '상하이의 회복'은 점진적으로 전개될 예정이다.

쭝밍 상하이 부시장은 "일반 상점들의 영업이 1일부터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다"라 밝혔다. 이는 모든 상점이 한 번에 영업을 재개하는 것이 아닌, 시차를 두고 문을 열게 될 것임을 뜻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