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내 캐리어 어디 갔지'...전 세계 공항서 '짐 분실' 속출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세계적으로 항공 수요가 급증하면서 수하물 분실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영국 런던 히스로 공항에선 수하물을 실어 나르는 컨베이어 벨트에 결함이 발생해 가방 수천개가 공항에 방치됐다.

지난 2일 에어프랑스는 프랑스 샤를 드골 공항에서 직원들의 파업으로 인해 수하물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1만7000개의 짐 도착이 지연됐다고 밝혔다.

수하물을 추적하는 스위스의 기술회사 SITA의 책임자 피터 드러먼드는 "지난달 전세계 수하물 분실률이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전인 2019년의 수준을 훌쩍 넘어섰다"며 "특히 4~6월 수하물 분실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배 급증했다"고 전했다.

이어 "국제선과 경유 항공편은 직항보다 수하물을 분실할 확률이 6배가량 높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미국에서도 수하물 분실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수하물을 추적해 분실 시 회수해주는 미국 업체 '블루 리본 백스'(Blue Ribbon Bags)는 지난 두 달간 수하물 분실 신고량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가브리엘 멘킨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1000개 중 10개의 수하물이 분실되거나 도착이 지연되는 것으로 보고됐다"며 "2019년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라 전했다.

수하물 분실 사례가 늘어나는 주요 원인으로 인력 부족이 꼽힌다. 코로나19 여파로 직원 수를 줄였던 항공업계 등이 최근 각국의 여행제한이 풀리고 항공 수요가 급증하자 후폭풍을 맞은 것이다.

업계를 떠난 인력들이 현장으로 돌아오지 못한 것은 물론, 항공사와 공항의 주요 인력들이 물가 상승을 반영한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서기도 했다.

앞서 프랑스의 샤를 드골 공항에선 2일 파업으로 인해 활주로 4개 중 2개가 폐쇄되면서 오전 항공편의 20%가 취소됐다. 공항의 직원들은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지난 30일부터 3일까지 파업한 데 이어 8에서 10일까지의 추가 파업에 돌입했다.

스페인에 본사를 둔 유럽의 저가 항공사 라이언에어 역시 이달 초 12일간 이어지는 파업을 단행하기로 했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에 들어섬과 동시에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여행 소비 심리가 더해져 여행객들의 수도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특히 미국에선 독립기념일 연휴 기간인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국내선과 국제선 1400여 편이 결항됐고 1만4000여편이 지연 출발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자 인력을 확보하려는 공항과 항공사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수하물 운송 업체인 스위스포트인터내셔널은 미국 일부 공항에서 신입 직원의 임금에 5000달러(약 650만원)을 가 지급하는 당근책을 내세웠다.

스위스포트인터내셔널의 대변인은 "코로나19 이전까지 6만5000여 명에 달했던 직원들이 작년 12월 기준 4만5000명 수준으로 줄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인력 확보가 쉽지만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수하물 업체인 멘지스항공의 필립 조이니히 최고책임자는 "새로운 직원을 고용하고 교육하는 데엔 2주 밖에 걸리지 않지만, 문제는 보안허가"라며 "직원이 실제로 일하기 위해 보안 허가를 받는 데는 평균 65일이 소요된다. 최고 90일까지도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